‘어차피 대기업 문화는 안 변해?’ 우리는 이렇게 했다스타트업 특유의 에너지는 어디서 나올까요? 란제이 굴라티 하버드경영대학원 교수는 스타트업의 활력이 크게 고객 관계, 사업 의도, 직원 경험이라는 세 가지에서 나온다고 설명합니다. 하버드비즈니스 리뷰에 실린 자세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김윤진
조직이 슬퍼지려 하기 전에회사에서 우리는 모두 가면을 쓰고 삽니다. 아무리 개인적으로 슬픈 일이 있더라도 일단 출근했으면 공과 사를 구분해서 밝게 일해야 하죠. 그런데 진짜 그게 맞을까요?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는 동료가 슬퍼할 때 주변인들 특히 …
고승연
와인 업계는 어떻게 소비자와의 관계를 구축해나갔을까와인 제조법은 7000년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지만 미국 와인 산업은 2002년 300억 달러에서 오늘날 600억 달러 이상으로 급성장하였습니다. 어떤 와이너리들은 와인의 정의를 새롭게 내리고 열정적인 소비자들의 충성도…
김성모
주주님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ESG 활동 보고서이제는 주주와 투자자들도 기업의 ESG 활동에 큰 관심을 쏟고 있습니다. ESG 활동을 열심히 잘 하는 기업일수록 장기 수익률도 높더라는 게 밝혀지기 시작했기 때문이죠. 이렇게 ESG를 강조하는 시대에 기업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조진서
누구나 다 나이 드는데... 노인을 무시하는 마케팅 실패 케이스왜 우리는 노화를 부정적으로 생각할까요? 나이가 들수록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더 일을 잘 할 수 있는데 말입니다. 영상을 통해 노화에 대한 광고 미디어의 부정적 표현 사례, 또는 그 반대의 사례를 통해 노인 …
배미정
경기침체, 이대로 죽을 순 없다경기 침체를 겪으며 많은 기업들이 도산하고 있습니다. 이런 중에도 꿋꿋이 살아남아 도약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크게 3가지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최한나
“예쁘다”는 말은 칭찬일까, 성희롱일까?승진한 여성 동료인 권 팀장에게 “예뻐서 승진했나 봐요!”라고 무심코 말한 김 부장. 성희롱일까요? 회사 내 일어나기 쉬운 상황을 가정해 그 해법을 고민해봅니다.
이미영